세상 돌아가는 흐름, 한눈에 정리

쏟아지는 뉴스 속에서 당신이 놓치지 말아야 할 핵심을 하루 한 번, 신뢰 있는 정보로 정리합니다.

정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2%로 상승,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긍정 평가 45% 기록

더쿼리 2025. 6. 26. 19:44
반응형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취임 3주 만에 60%대에 진입했다. 2025년 6월 26일 공표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긍정 평가는 62%로 2주 전 대비 9%포인트나 상승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에 대해서도 45%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새 정부의 안정적 출발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왜 이렇게 급등했을까?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3∼25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이 일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62%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정 평가는 21%에 그쳤다.

이는 이 대통령 취임 직후이자, 2주 전에 실시된 직전 조사(6월 9~11일) 대비 긍정 평가 9%p, 부정 평가 2%p 각각 오른 것이다.

주요 상승 요인으로는:

  • G7 정상회의 참석 등 국제 무대에서의 적극적 외교 활동
  • 추경 편성 등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신속한 정책 대응
  • 윤석열 정부 적폐 청산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

조사 신뢰도는 어느 정도일까?

전국지표조사(NBS)는 국내 4개 주요 여론조사 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정기 조사로,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의 높은 신뢰도를 자랑한다.

조사 방식의 특징:

  •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활용
  • 3일간 조사 후 목요일 공표하는 정기적 시스템
  • 최대 20차례 재접촉을 통한 높은 응답률 확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 평가는?

김민석 인선, 잘했다 45% 잘못했다 31%로 나타나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이는 새 정부의 첫 총리 인선에 대한 국민적 수용성이 상당함을 보여준다.

김민석 후보자의 강점:

  • 4선 의원으로서의 풍부한 의정 경험
  • 2024년 윤석열 정부 계엄령을 사전 경고한 정치적 통찰력
  • 이재명 대통령과의 전략적 호흡으로 다져진 신뢰 관계

국정 신뢰도와 정책 평가는 어떨까?

국정운영 신뢰도 63% 불신 29%로 신뢰가 불신을 2배 이상 앞서는 안정적 기반을 확보했다.

그러나 일부 정책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탕감 정책엔 59% 반대로 나타나, 경제 정책에서는 보다 세밀한 국민 소통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정치적 의미와 향후 전망은?

이번 조사가 갖는 정치적 함의:

  1. 정국 안정화 신호: 60%대 지지율은 새 정부가 안정적 국정 동력을 확보했음을 의미
  2. 국회 협치 기반: 김민석 총리 인선에 대한 긍정 평가는 여야 협력 가능성을 높임
  3. 정책 추진력 강화: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추경 등 핵심 정책 실행력 확보

주의할 점:

  • 허니문 기간 특성상 향후 지지율 변동성 존재
  • 부채 탕감 등 민감한 경제 정책에서의 신중한 접근 필요
  • 야당과의 건설적 견제와 협력 관계 구축이 관건

📊 핵심 수치 정리

항목 수치 변화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2% +9%p (2주 전 대비)
국정 신뢰도 63% -
김민석 총리 인선 긍정 평가 45% -
부정 평가 21% +2%p

💡 한줄 요약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62%로 상승하며 취임 초기 안정적 기반을 확보했고,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선도 45%의 긍정 평가를 받아 새 정부의 순항 가능성을 보여줬다.


출처: 한국경제신문, 2025.06.26,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2%…2주 만에 9%p 올라 [NBS]"


더 깊이 있는 정치 분석과 최신 여론 동향이 궁금하다면 구독과 댓글로 함께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