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대상자별 꿀팁
✅ 청년 (만 18–39세)
- 공공근로 참여 추천: 청년은 주민센터, 도서관, 공원 등에서 짧게 일하며 경력 공백을 채울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기반 월 50–90만 원 수준, 추가 교통·식대 지원이 있는 경우도.
- 서울 동행일자리 활용: 3~12개월 근무 가능하며 4대 보험 포함, 프로그램·네트워킹 기회 제공.
- 국민취업지원제도+디지털 인턴십 병행: 청년 인턴 채용 시 추가 월 최대 60만 원 지원, 정규직 전환까지 이어지는 모델.
✅ 경력단절 여성 & 중장년층
- 새일센터 인턴십 활용: 교육·컨설팅 포함, 평균 97% 취업 성공률의 프로그램 운영 .
- 고용24 ‘잡케어’ 서비스 이용: 이력서·경력기반 맞춤 추천 + 훈련 과정 연결.
- 지자체 여성 재취업 프로그램 활용: 예: 서울우먼업처럼 지역 기반 지원자 프로그램 참여 가능.
✅ 노년층 (55세 이상)
- 공공근로나 시니어 인턴십 적극 활용: 근무시간·임금/지원금 조정 가능. 시니어 인턴십 시 기업에 최대 520만 원, 지원자에도 60만 원 지급.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시 주의사항: 등록 기준은 ‘주민등록 주소지’, 재참여 조건 및 건강 상태 기록 필요.
✅ 장애인
- 장애인 일자리통합지원센터 방문: 1:1 상담, 직업평가, 맞춤 구직 알선
- 지자체 공공근로 시 장애등급·의사소견서 준비: 일부 뇌질환·심장 장애도 참여 가능
❓ 2.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공공근로 지역 제한 있나요?
- 답: 참가자는 주민등록 기준 ‘주소지 관할’ 지자체 공공근로만 지원 가능. 단, 예외적 협의로 타 지역 참여 가능.
Q2. 중도 포기 시 다시 참여할 수 있나요?
- 답: 건강·환경 등 불가피 사유인 경우 일부 제한 없이 재참여 가능. 하지만 자발적 포기 시 참여 제한을 받을 수 있음.
Q3. 사업 연장 시 기존 참여자는 그대로 유지되나요?
- 답: 신규참여자 우선이나, 대기자 부족·전문성 고려 시 기존 참여자도 프로젝트 연속 참여 가능.
Q4. 장애인도 참여할 수 있나요?
- 답: 장애가 있어도 근로능력 인정되면 참여 가능하며, 의사 소견서 제출이 필요할 수 있음.
Q5. 공공근로 참여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 답: 기본적으로 만 18세 이상, 주민등록지 기준, 소득·재산 기준 충족하며 대학 재학생이나 공무원 가족 등 일부 배제 기준 있음.
💡 3. FAQ 외 꿀팁 정리
- 조기 지원 필수: 공고 게시 1~2일 차에 서둘러 접수해야 경쟁률 부담 줄어듭니다
- 업무일지 관리 추천: 단순 근무라도 일지로 정리하면 경력 활용에 도움이 됩니다
- 센터 상담 예약: 고양시, 서울시 등 지자체에서 센터 상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4. 대상별 전략 요약표
대상 추천 채널 핵심 팁
청년 | 워크넷 / 고용24 / 지자체 공공근로 | 조기 지원, AI 추천 활용, 이력서 공백 메우기 |
경력단절 여성 | 워크넷 / 고용24 / 새일센터 | 인턴십 통한 교육+취업, 재취업 연계 |
노년층 | 고용24 / 지자체 공공근로 / 시니어 인턴십 | 근로시간 유연 설정, 4대 보험 포함, 행정·복지 업무 선택 가능 |
장애인 | 장애인 지원센터 / 지자체 공공근로 | 1:1 상담·직업평가, 장애인 우선 조건 확인 |
✅ 5편에서 다룬 내용 & 시리즈 종료
6편에서는 청년, 경력단절, 노년, 장애인 등 계층별 맞춤 전략을 정리하고, 공공근로 참여 관련 FAQ를 풀었습니다.
이제 시리즈가 마무리됩니다.
🔄 시리즈 총정리
- 1편: 공공일자리 개요 & 플랫폼 비교
- 2편: 워크넷 완전정복
- 3편: 나라일터 공략법
- 4편: 잡알리오 분석 꿀팁
- 5편: 고용24 + 지자체 플랫폼
- 6편: 대상자별 전략 & FAQ
🎉 공공일자리 6부작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취업·재취업 관련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구독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