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돌아가는 흐름, 한눈에 정리

쏟아지는 뉴스 속에서 당신이 놓치지 말아야 할 핵심을 하루 한 번, 신뢰 있는 정보로 정리합니다.

경제

이재명 정부 ‘규제 드라이브’ 예고: 대형마트·온라인 플랫폼·배달앱 전방위 규제 확정?

더쿼리 2025. 6. 12. 15:26
반응형

🟦 도입 – 왜 ‘규제 강화’가 뜨거운 이슈일까?

2025년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오프라인 유통부터 온라인 플랫폼·배달앱까지 전방위적 규제 강화 법안이 국회에 줄줄이 발의 중입니다. 이는 시장질서 재편과 소상공인 보호를 목표로 하지만, 기업들은 규제 리스크에 대비하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m-i.kr).


1. 오프라인 유통: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

  • 준대형마트 의무휴업 및 출점 규제 연장
    – 유통산업발전법 유효기간(2025년 12월 말)을 5년 더 연장하는 법안이 발의 (m-i.kr).
    – 기업형 슈퍼마켓(SSM), 대형마트뿐 아니라 백화점·아울렛·면세점까지 휴업·출점 규제 대상 확대 방안도 추진 중 (m-i.kr).
  • 임차료 계약 규제 및 프랜차이즈 가맹점주 권리 강화
    – 대형마트·백화점 등에서 임차료 계약 시 일방 강제 금지 조항 포함 개정안 발의 (mk.co.kr).
    – 가맹사업법 개정안에서는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간 집단교섭권 보장도 법제화될 가능성 (m-i.kr).

2. 온라인 플랫폼·배달앱: ‘온플법’과 수수료 규제

  • 온라인 플랫폼 공정법(온플법) 제정 추진
    – 플랫폼 중개수수료 차별 금지 및 수수료 상한제 도입이 핵심 공약 (sentv.co.kr).
    – 공정거래위원회가 ‘온플법’에 대응 중이며, 중개·결제수수료 투명 및 상한 규제가 본격화될 전망 (sentv.co.kr).
  • 수수료 상한제·공공배달앱 육성
    –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는 이미 정부 과제로 확정, 하반기 입법 추진 가시화 (biz.chosun.com).
    –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에 이은 전국 확장 움직임,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안도 병행 (zdnet.co.kr).

3. 시장 반응 및 기업 대응

  • 유통업계의 긴장감 팽배
    – “마트 쉬라고, 출점 막고, 수수료도 낮추라”는 전방위 규제 추진에 기업들 ‘패닉 상태’ (mk.co.kr).
    – 업계는 자율성과 정책 유연성 확보를 정부에 요구 중 (v.daum.net).
  • 플랫폼·배달앱 기업의 대비 움직임
    – 쿠팡·배민·요기요 등은 대관 조직 확대, 정치 리스크 대응 태세 강화 (m-i.kr).
    – 결제(PG)업계는 배달앱 넘어 간편결제 수수료 규제 확장 우려 중 (asiae.co.kr).

4. 사회·경제적 함의

  1. 소상공인 보호 vs 시장 경쟁 약화
    – 의도는 소상공인 돕기지만, 폭넓은 규제가 경쟁과 혁신을 억제할 우려 (mafra.go.kr).
  2. 정책 효과 불확실성
    – 임의규제의 실효성 논란이 지속되며, 업계는 정량적 연구와 신중한 시행을 요구 .
  3. 정책 유연성 필요성
    – 시장·산업 구조마다 차이 존재하므로, 맞춤형 규제 설계와 사후조치 장치 마련이 중요 .

✅ 맺음말

유통산업 전반과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전방위 규제 법안이 국회에서 추진 중입니다. 이는 소상공인·자영업 보호와 시장질서 회복을 목표로 하지만, 동시에 기업들의 혁신의지 및 시장 경쟁력을 시험하는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정책의 효과 여부는 실증적 데이터, 단계별 시행, 유연한 대응 등에 달려 있습니다. 앞으로 국회 심사 여부와 실제 시행 결과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시점입니다.


📌 요약

  • 유통산업법: 의무휴업·출점규제 연장 및 확대
  • 임차료·가맹사업법: 입점업체 보호장치 강화
  • 온플법: 플랫폼 수수료 차별금지·상한제 도입
  • 배달앱: 공공앱 육성과 수수료 규제
  • 업계 반응: 기업들 대응 모색, 유연성·자율성 요구
  • 정책 과제: 실증 기반, 단계 시행, 시장 특성에 따른 맞춤 규제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