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네이버 뉴스 댓글 정렬기준, 이제부터 언론사가 직접 운영... 과연 괜찮을까?

더쿼리 2018. 10. 22. 19:12


네이버는 22일 부터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댓글 영역이 해당 언론사가 결정한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편은 지난 5월 진행한 '네이버 뉴스 및 댓글 개선 기자간담회'에서 댓글 영역을 저작권자인 개별 언론사가 제공여부 및 노출 순서 등 제공방식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실행한 것입니다. 


이로써 이전까지 일괄적으로 적용되던 댓글 유무와 댓글 정렬기준 (최신, 순공감, 과거, 공감비율 순)을 언론사가 직접 선택할 수 있게된다고 합니다. 댓글 영역에서 발생하는 어뷰징이나 불법 콘텐츠 유통 등에 대한 모니터링은 계속 네이버가 맡는다고 합니다. 




유봉석 미디어 & 지식정보서포트 리더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들 간의 소통 창구인 점을 감안해 댓글 허용 여부나 댓글 정렬방식을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변경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5월 이후, 소셜로그인 시 댓글 및 공감 차단, 동일 기사에 대한 등록 가능 댓글 수 제한 등 댓글 영역에서의 비정상적 행위 근절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개선을 진행해 왔는데요. 최근들어 댓글에 대한 많인 이슈들이 생겨서 변경사항을 적용한걸로 보입니다.


이번 댓글 정책 개편은 지난 5월 한성숙 대표가 직접 발표한 뉴스 댓글 개선책의 일환입니다. 네이버는 그간 페이스북-트위터 계정을 통한 댓글 작성을 막는 조치 등에 이어, 이달 10일에는 모바일 첫화면에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도 없애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쉽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포털 뉴스를 읽을 때 댓글까지 챙겨본다는 이용자 비중은 70.2%나 된다고 합니다. 이에 네이버가 이용자들을 포털 내에 머물게 하는 데 필요한 댓글 기능은 포기하지 않으면서, 댓글 관리에 대한 책임만 면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고 합니다. 김도연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댓글이 없으면 뉴스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네이버든 언론사든 댓글 창을 없애지는 않을 것"이라며 "언론사가 댓글 형식을 정한다지만 여전히 네이버 안에서 이뤄지는 행위인 만큼 네이버가 아예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말했습니다.